의대 의사 과정, 일반의, 전문의, 전임의 되는 과정소개

6년동안 의대과정을 마치면 의사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이후 일반의, 전문의, 전임의 등의 과정이 있죠. 이에대해 상세히 설명을 드리려합니다.

의대 의사 과정

먼저 의대 또는 의대가 아닌 의학대학원을 통해 의하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합니다.

의대가 아닌 의학대학원을 통해 일반4년대 대학을 졸업하고도 의사가 될 수 있는 길은 있습니다.
궁금하다면 글 하단을 참고하세요.

의사면허 취득(일반의)

전문의사 모습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의사국가고시에 합격해야 합니다.
이 시험은 의학 지식과 임상 능력을 평가하며, 합격 시 의사면허를 발급받게 됩니다.
이를 보통 일반의라 부르기도 합니다.

의사국가면허시험을 합격하게 되면 개인병원을 차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의라는 표현을 쓸 수 없어 “의원“으로 개원을 해야합니다.

우리가 많이 보는 “땡땡땡 의원“이라는 상호는 대부분 의사면허만 취득한 경우로 간단한 처치 또는 감기, 소화불량, 고혈압 등을 진료할 수 있는 곳입니다. 그리고 동네에 물리치료, 도수치료를 많이 해주는 의원들이 여기에 속하는 경우가 많아요.

실습 및 전공의 과정(인턴, 레지던트)

의사면허 취득 후에도 전문적인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습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이때 인터과정을 거쳐 전공의까지 마쳐야 전문의 자격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1. 인턴 과정 (1년) 수련의
    다양한 과를 돌며 환자 진료 및 병원 운영에 대한 실무를 익히는 시기입니다.
  2. 전공의 과정 (3~4년) 레지던트
    자신이 선택한 전문 과목(내과, 외과, 소아과 등)에서 심화된 교육과 실습을 받습니다. 전공의 과정을 마치면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전문의 자격시험(전문의)

레지던트 과정을 모두 마친 후, 전문의 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가 됩니다.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전문의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전문의 자격시험 응시 자격

  • 의사 면허 소지자
  • 전공의 수련 완료: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수련병원에서 특정 진료과목의 전공의 과정을 모두 마쳐야 합니다. 전공의 과정은 보통 3~4년입니다(진료과목에 따라 차이 있음).
  • 수련평가 인증: 수련 과정에서 지정된 실습과 교육을 이수하고 병원으로부터 인증받아야 합니다.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진료과목을 표시해 병원을 개설 할 수 있습니다.
가령 “**내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정신과” 처럼 말이죠.

전문의 다음 더 심화해 배우고 싶다면 “펠로우” 과정이 있습니다.

전임의(펠로우)

전문의를 취득하고 자신의 전공과목을 대형 병원에서 1~2년 추가적으로 연구 공부하는 의사를 말합니다.
보통은 전문의를 따고 개인병원을 차리거나 또는 다른 큰 병원에 전문의로 취업을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근무하던 대학병원에서 자신의 전공을 지속적으로 공부하는 분들을 펠로우라합니다.
보통 의대 교수님들이 펠로우 과정까지 마치고 교수님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한국에서 의사가 되는 데 필요한 마음가짐

의사가 되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긴 학업과 실습, 국가고시 준비는 체력과 정신력을 요구합니다. 하지만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직업인 만큼, 강한 사명감과 끊임없는 배움의 자세가 필수적입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