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LG vs 삼성 에어컨, 실제 써보니 뭐가 더 낫냐면요

에어컨 하나 사려고 해도 머리가 지끈지끈하죠. 요즘 같은 날씨에 에어컨 없이는 못 사니까 급하긴 한데, 막상 LG냐 삼성 냐를 두고 고민이 많아집니다.

저도 딱 그랬어요. 설치 기사님도, 친구도, 심지어 부모님도 다 의견이 다르더라고요.

그래서 진짜 제 기준, 그리고 제가 직접 써본 경험을 바탕으로 비교해봤습니다.

에어컨 고를 땐 ‘브랜드’보다 먼저 생각할 것

lg에어컨 삼성에어컨 비교사진

LG vs 삼성 에어컨 고민 전에 한 가지, ‘나는 에어컨에서 뭘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지?’ 이걸 먼저 생각했습니다.

전 성능이 최우선이에요.
진짜 시원한가? 전기료는? 절전은 잘되는가?
이게 제일 중요했어요.

저는 에어컨 전문가 입니다.
에어컨을 전문적으로 판매해 보고,
일반 에어컨 설치부터 전문 시스템 에어컨 설치 관리 감독까지 해 봐서 어느정도 에어컨에 대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래도 에어컨 고르는 것은 그리 쉽지많은 않아요.
제가 에어컨을 선택하는 기준을 말 해볼께요.
전 주로 성능 위주로 봅니다.

근데 어떤 분들은 디자인, 소음, 가격, 설치의 편리함 같은 걸 더 우선시할 수도 있겠죠.

그래서 그 기준으로 하나하나 정리해봤어요.

디자인은? 솔직히 삼성 손 들어줄게요

삼성 에어컨 비스포크 AI 무풍 콤보 에어컨
출처:삼성전자 홈페이지

에어컨도 요즘은 ‘가전’이 아니라 ‘인테리어’의 일부잖아요. 거실 한가운데 떡하니 있는 거니까요.

이런 기준에서 보면 삼성 비스포크 시리즈, 진짜 감성 제대로입니다. 컬러도 다양하고, 선도 매끈해서 벽이랑 찰떡이에요.

반면 LG 휘센 오브제는 고급스럽고 안정감 있는 디자인이에요. 그런데 좀 보수적인 느낌이라 젊은 층에겐 덜 매력적일 수도 있어요.

지인 집에 설치된 삼성 비스포크 프리미엄 모델을 보고 휘센도 좋지만 삼성 비스포크 디자인이 조금 더 세련되고 단아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 디자인에 민감하시다면 삼성 쪽 한번 꼭 실물 보세요.
감성 폭발합니다.

성능은? 여기선 LG가 한 수 위

에어컨 성능은 실외기에 달렸다는 말, 들어보셨죠? 실외기 안의 ‘모터’가 핵심인데, 이 기술은 LG가 진짜 잘합니다.

특히 듀얼 인버터 시스템은 에너지 효율과 빠른 냉방 모두 챙겨요. 제가 LG 휘센 벽걸이형 두 대 쓰는데, 더운 날에도 금방 시원해지고, 전기료도 생각보다 괜찮았어요.

삼성도 시원하긴 해요. 그런데 ‘무풍’이라는 특성상, 바람이 세게 나오는 느낌은 적어요. 그래서 ‘빨리’ 시원해지고 싶은 분들에겐 살짝 아쉬울 수 있어요.

무풍에어컨은 바람을 직접 쐬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매우 더운 환경에서는 초기 냉방 속도가 느리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직바람 없이 공기를 퍼뜨리는 방식이라 빠른 쾌속냉방이 필요한 상황엔 휘센 같은 강풍형 에어컨이 더 시원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 아이가 있거나, 냉방병 걱정되는 분에겐 삼성 무풍이 좋고, 절전, 시원함을 원하면 LG가 만족도 높습니다.

스마트 기능은? 삼성 생태계 쓰는 분들에겐 무조건 삼성

요즘 가전제품 대부분이 앱이랑 연결되잖아요. 여기서 삼성은 스마트싱스(SmartThings)LG는 ThinQ라는 앱을 써요.

두 개 다 앱으로 원격 제어, 타이머, 에너지 모니터링 가능해요. 차이는 ‘호환성’이에요.

📱 삼성 폰, 삼성 TV, 삼성 냉장고 쓰는 집이라면? 삼성 에어컨도 같이 연결해서 한꺼번에 제어가 됩니다. 이건 진짜 편해요.

LG는 독립적으로 잘 되긴 하는데, 생태계 호환성이 삼성보다는 약해요.

가격은? 벽걸이는 삼성이 가성비, 스탠드는 비슷비슷

LG전자 판매량 많은 모델 에어컨 가격
출처:LG전자 홈페이지

위 이미지는 LG 전자 홈페이지 에어컨 페이지에 게시된 제일 많이 팔리는 모델 가격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보면,
온라인 최저가 기준으로

  • 삼성 벽걸이형 무풍 에어컨은 최저가가 56만원대부터 있어요.
  • LG 휘센 벽걸이형은 보통 59만원 이상부터 시작합니다.

스탠드형은 두 브랜드 다 180~250만원대 제품들이 주력이에요. 럭셔리급은 300만원 이상도 가고요.

하지만 중요한 건, ‘설치비’나 ‘추가 부품’ 비용이 따로 들어가는 경우도 많아요. 그건 꼭 체크하고 구매하세요. 판매처에 따라 가격 차이 크니까요.

삼성전자 판매량 많은 모델 에어컨 가격
출처:삼성전자 홈페이지

실제 써본 LG 휘센 후기

제가 스텐드형과 벽걸이형으로 LG 휘센 두 대를 쓰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정말 만족하고 있어요.

  • 냉방 빠름 (작동 시작하면 5분 정도 후 집안이 시원해 짐)
  • AI 모드로 알아서 꺼지고 켜져서 편함
  • 곰팡이 냄새 7년 정도 없었음,
  • 여름철 전기요금 절전 잘 됩니다.

특히 꺼질 때 자동 건조 기능이 있어서 꿉꿉함도 없고요.
제품 처음 설치할 때,
설치 기사님이 말하길 “실외기 기술은 확실히 LG가 한 수 위”라고 하더라고요.

인기 모델 간단 비교 (2025년 판매 순위 기준)

브랜드 모델명 냉방 면적 가격(최저가 기준) 특징
삼성 AR06D1150HZT 18.7㎡ 약 59만원 무풍 냉방, 벽걸이형
삼성 AF19B6474WST 62.6㎡ 약 159만원 Q9000 스탠드형
LG SQ06EA1WCS 약 18㎡ 약 69만원 휘센 벽걸이형
LG FQ18FC1EU1 약 58.5㎡ 약 167만원 듀얼에어컨, AI

👉 위 표는 제가 직접 이미지랑 제품 페이지 그리고 인터넷을 참고해서 정리한 거예요.
참고만 해주세요.

마무리 한 마디

LG vs 삼성 에어컨 고민하는 분들께 말해주고 싶은 건 이거예요.

둘 다 나쁜 선택은 없고, 결국 ‘내 우선순위’가 답이다.

✔️ 냉방 강도 + 빠른 쾌적함 → LG 휘센
✔️ 부드럽고 조용한 냉방 + 스마트홈 연동 → 삼성 무풍
✔️ 디자인 감성 → 삼성 비스포크
✔️ 실속형 가성비 모델 → 삼성 벽걸이
✔️ 오랜 운용 효율, 안정성 → LG 휘센

저는 앞으로도 에어컨은 LG, TV는 삼성 쓸 것 같아요. 각자 잘하는 게 다르거든요.

위로 스크롤